건축 역사_남아시아

2023. 1. 23. 02:19건축

인도 건축

인도 건축은 다양한 종류의 역사적으로, 지리학적으로 널리 퍼진 구조물들을 포함하며, 인도아대륙의 역사에 의해 변형되었다. 그 결과 단일한 대표적인 양식을 특정하기는 힘듦에도 어느 정도의 역사를 꿰뚫는 지속성을 가지는 건축적인 생산의 진화하는 범위가 생겨났다. 인도 문화의 다양성은 그 건축을 통해 표현된다. 이것은 유럽뿐만 아니라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서부터 기원한 건축 양식, 형태와 기술과 다양한 옛 지역의 전통의 혼합물이다. 건축의 양식은 힌두교 사원 건축에서부터 이슬람의 건축, 서양의 고전주의 건축과 포스트모던 건축을 아우른다.

인도의 도시 문명은 현재 파키스탄에 있는 모헨조다로와 하라파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때부터, 인도의 건축과 토목공학은 지속해서 개선되었고, 인도아대륙과 근방에 사원, 궁전, 요새에서 나타난다. 건축과 토목공학은 sthapatya-kala로 불렸는데, "건설의 예술"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이홀레와 파타다칼의 사원들은 힌두교 사원의 제일 앞선 예시들로 알려져 있다. 많은 사찰과 힌두교 사원이 인도의 석조건축의 훌륭한 예시로 알려져 있다. J.J. O'Connor와 E. F. Robertson에 따르면 술바스트라스는 '제단 건설의 규칙'을 부여한 베다의 부록이라고 한다. "그것들은 상당한 양의 기하학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수학은 그것이 만들어내지 않았고 순수하게 종교적인 의도로 개발된 것이다."

인도의 건축과 토목 공학은 쿠샨 제국과 마우리아 제국 시기에 발루치스탄과 아프가니스탄에까지 퍼졌다. 아프가니스탄의 바미안 석불처럼 산의 절벽 전체를 뒤덮는 부처의 조각상이 만들어졌다. 일정 기간 고대 인도 건축의 예술은 그리스 양식과 결합하였고 중앙아시아로 퍼져나갔다. 이는 호이살라 건축, 비자야나가르 건축, 서부 찰루키아 건축과 같은 다양한 왕조의 건축을 포함한다.

인도 바로크 건축 양식을 선택한 세인트 앤 교회는 그 시대의 제일 저명한 건축가들의 영향 아래 있었다. 이 교회는 인도 양식과 유럽 건축 양식 결합의 훌륭한 예시다.

 

 

캄보디아 건축

크메르 건축과 결정적으로 크메르 문명에 대해 주된 예시는 종교적인 건물로 남아 있고, 그 수에서 주목할만하고 크기가 극단적으로 다양하다. 건물들은 불멸하는 신들을 위한 것이었고 그것들이 적색토와 사암과 같이 단단한 재료로 만든 벽돌로 지어있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남아있을 수 있었을 것이다. 건물들은 대개 악한 힘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나 종종 어디가 절의 담벼락이고 어디가 절의 일부분을 이루는 마을의 담벼락인지에 대한 혼동이 있었다.

12세기에 수리야바르만 2세에 의해 건설된 앙코르 와트는 크메르의 건축적인 걸작의 훌륭한 예시다. 건축된 지 800년 이상이 지났지만 세계에서 제일 큰 종교 구조물의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건축

인도네시아의 건축은 지역의 풍부한 역사적 유산과 문화적인 다양성을 반영한다. 인도네시아의 지리학적인 위치는 아시아 힌두-불교 건축과 오세아니아의 애니미즘적 건축 사이의 전이를 의미한다. 인도네시아의 광범위한 토착 건축은 나무 말뚝 우물, 높게 다듬어진 지붕, 확장된 용마루로 특징지어지는 오스트로네시아 건축 전통의 유산이다. 반면에 자바의 사원은 인도 힌두-불교, 특히 동남아시아 쪽의 혈통을 이었다. 그렇지만 토착적인 영향이 건축 유산들의 인도네시아 양식의 시작을 눈에 띄게 이끌었다. 12세기부터의 지역을 통한 이슬람의 단계적인 확산은 이국적인 요소와 지역적인 요소의 조합을 배척하는 이슬람 건축을 탄생시켰다. 유럽, 특히 네덜란드 상인들의 출현은 18세기와 현대의 인디스 양식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는 동서 양식의 절충적인 합성을 만들어내기 위해 많은 인도네시아의 요소들이 네덜란드 현지의 건축에 수용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독립한 이후의 시기에서는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건축에서 명료하게 드러나는 인도네시아의 건축의 일정 부분에의 모더니스트 적 관념의 적용을 볼 수 있다.

반응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역사_과거 아메리카와 유럽  (0) 2023.01.23
건축 역사_동아시아  (1) 2023.01.23
건축 역사_이슬람 ~ 아프리카  (0) 2023.01.19
건축 역사_로마 ~ 페르시아  (0) 2023.01.18
건축 역사_신석기 ~ 그리스  (0) 2023.01.18